가족이야기

'하늘의 고운 자락'을 보낸다

갑자기여인 2011. 1. 14. 22:49

해영아 잘 있니?

  늘 바쁜 생활로 여유와 틈이 없겠지만, 이 글을 읽고 잠시 쉬어 보렴.

며칠 전에 피천득 시인이 번역한 <내가 사랑하는 詩> 라는 번역시를 읽었는데, 그  시인들의 이름 '셱스피어, 블레이크, 테니슨, 디킨스, 타고르 등' 낯익은 이름들이 마치 나를 옛날 학창시절로 인도하는 것 같았어. 양쪽 머리 길게 땋고, 흰 칼라의 교복 입고, 학교 동산에서, 줄줄 읽으며 눈물까지 흘리던 그 소녀시절로 끌고 가더라.

 

해영아!  아랫시  큰소리로 읽어보렴

      

  하늘의 고운 자락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리엄 버틀러 예이츠(W.B.Yeats. 1865~1939)

 

    금빛 은빛 섞어 짠

    하늘의 고운 자락 내 가졌다면

    밤과 낮과 황혼의

    푸르고 어슴푸레하고 때로 어두운

    그 채단, 가시는 길 위에 깔으리다

    그러나 내 가난하여 가진 것은 꿈뿐,

    나의 꿈 임의 발 아래 깔았습니다

    사뿐히 밟고 가시옵소서

    내 꿈 위를 걸으시오니

 

해영아 큰 소리로 읽었지. 좀 의아한 면이 있지. 그럼 이 번에는,

 

   「진달래 꽃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김소월( 1902~1934)

 

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나 보기가 역겨워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가실 때에는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

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영변에 약산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진달래꽃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시는 걸음 걸음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놓인 그 꽃을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나보기가 역겨워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가실 때에는

 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

 

 

 

  미국이나 유럽 시인들도 우리의 구조와 정서가 비슷하여 이렇게 유사한 시가 나온다고 배웠다.

 

 

아무리 정신없이 바쁘더라도 늘 밥 잘 챙겨 먹고 시집도 읽도록 하여라.

 

 

 

  아랫그림은 지난 가을에 찍은 것이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