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<조국> 외 2편_시조시인 정완영
    관객과 배우 2019. 7. 28. 22:29

    작가 정완영 (1919~2016 ), 시조시인으로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조국 잃은 나라에서 가난하게 보낸 유년이 '조국' 사랑의 정신을 시조로 승화시킨 시인. 육당문학상, 만해시문학상, 육사문학상,이설주문학상 등 수상

     

     

    조국

     

    행여나 다칠세라 너를 안고 줄 고르면

         떨리는 열 손가락 마디마디 에인 사랑

         손 닿자 애절히 우는 서러운 내 가얏고여

        

         둥기둥 줄이 울면 초가삼간 달이 뜨고

         흐느껴 목 메이면 꽃잎도 떨리는데

         푸른 물 흐르는 정에 눈물 비친 흰 옷자락

     

         통곡도 다 못하여 하늘은 멍들어도

         피맺힌 열두 줄은 구비구비 애정인데

         청산아 왜 말이 없이 鶴처럼만 여위느냐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 「을숙도」

     

    세월도 낙동강 따라 칠백리 길 흘러와서

         마지막 바다 가까운 하구에선 지쳤던가

         을숙도 갈대밭 베고 질펀하게 누워 있네

     

        그래서 목로주점엔 대낮에도 등을 달고

        흔들리는 흰 술 한 잔을 낙일 앞에 받아 놓으면

        갈매기 울음소리가 술잔에 와 떨어지네

     

        백발이 갈대처럼 서걱이는 老사공도

        강물만 강이 아니라 하루해도 강이라며

        金海벌 막막히 저무는 또 하나의 강을 보네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「父子像」

     

    사흘 와 계시다가 말없이 돌아가시는

         아버님 모시 두루막 빛바랜 흰 자락이

         웬일로 제 가슴속에 눈물로만 스밉니까

     

         어스름 짙어 오는 아버님 여일 위에

         꽃으로 비춰 드릴 제 마음 없사오매

         생각은 무지개 되어 고향길을 덮습니다

     

        손 내밀면 잡혀질 듯한 어린 제 시절이온데

        할아버님 닮아 가는 아버님 모습 뒤에

        저 또한 그날 그때의 아버님을 닮습니다

     

           (기획특집 탄생 100주년 정완영의 삶과 문학, 월간문학606 에서 옭겨옴)

Designed by Tistory.